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hatGPT
- REACT
- 웹 이력서
- 클론슬랙
- 클론디스코드
- 모바일청첩장제작
- WebStorm
- OS 12.6
- Mac13
- timeupdate
- 링크에브리
- 개인프로젝트
- Safari16.1
- Safari
- 포롱카드
- 내똥
- 셀프모바일청첩장
- 프론트개발자
- 사이드이펙트
- 프로젝트
- 스마트스토어
- 이직
- 새로만들기
- vscode
- tsyringe
- 마이그레이션
- RxJS
- 대응기
- 사파리 16
- 모바일청첩장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
쫑탱
최근에 사파리 16 버전 이상에서 발생된 에러를 대응한 얘기를 포스팅했었습니다. 이슈를 해결하고, 바로 업데이트를 진행했습니다. QA를 성공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배포된 공인 사이트에서 다시 QA를 진행했을 땐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 "이거 파이어폭스에서 안되는데 원래 이랬나요? 이번 업데이트 되면서 이런건가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어..? 작은 의문의 외침을 던지고 바로 파이어폭스로 들어가서 확인했습니다. "... is not a function..." 에러가 저를 반겨주었습니다.. 문제는 사파리 대응을하면서 작성한 함수를 외부에서 2곳에서 참조를 하고있었습니다. 현재 대응한 프로젝트는 JS라서 TS처럼 따로 에러가 없기에..(핑계입니다. 실력 부족입니다.) 여튼.. 파이어폭스에서 ..
얼마전 12.6 맥 OS로 업데이트 되면서 Safari가 16.0으로 업데이트 됐습니다. 이 때 발생된 이슈를 해결하고 나서 QA 요청을 했는데 다른 이슈가 발견되었습니다. "Mac OS 13 - Safari 16.1 버전에서 웹뷰어 화면이 간헐적으로 초록색으로 보입니다." 왜! 왜 너만 그러는건데! 왜! Mac OS 13은 베타라서 피엠님께 다음 업데이트에 대응하자는 말이 나올랑 하다가 말았습니다. OS 13이 10월중 공식 배포 예정이라 대응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하루 종일 삽질을 했으나 원인은 찾지못했고, 해결책은 찾았습니다. 일단 급한불은 꺼야했기에.. 업데이트 직전인데 대응 이슈가 많습니다.. 원인을 예상하기론 영상 스트림 데이터와 video Element의..
사파리 대응을 하면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니까 야근의 연속입니다~ 하지만 마이그레이션은 재밌어서 시간가는지 모르고 하게됩니다. 사파리 얘기는 다음 글로 써야겠습니다~ 포스팅 수를 늘려야죠 후후 기존 연결 시퀀스 문서를 참고하면서 작업하던 중 메시지가 제대로 주고받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전 프로젝트의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는 삽질을 시작 했습니다. 통신 기반이 MQTT 프로토콜이라서 데이터 형도 알아보기 힘듭니다..ㅋㅋㅋ 심지어 실제로 까보니까 client 에서 보내는 id와 host에서 보내는 id 마저 반대로 표시되어있었습니다. 왠지 메시지가 안오더라.. 아마 프로젝트 개발된지가 오래되기도했고, 변경된 부분에있어서 문서를 열심히 업데이트하지 않았던거겠죠 저도 문서 업데이트가 얼마나 귀찮은 일인지 알기..
평화로운 일 중 연락이 왔습니다. "Mac OS 업데이트 이후 사파리에서 웹 원격제어 페이지가 검은화면입니다." 라는 연락이.. 아아~ 사파리여 ㅠ 대응을 하기위해 맥 업데이트를 하고, 확인해보니 검은색 화면이 나왔습니다. 😂 디버거에 에러가 있길 바랬지만 역시나 에러는 없었습니다~ 이러면 이제 정상으로 동작하는 크롬과 비교를 하는데 원격 제어 화면을 실행하는 비디오 엘리먼트가 사이즈가 0으로 설정되어있었습니다. 그로인해서 화면이 검은 화면으로 표시되고 있었습니다. (사실 그냥 안보이던거였던..) // why..? 왜~ 사이즈 조절이 안되고있을까? 싶어서 사이즈를 변경하는 로직들을 검색했습니다. 로그도 찍고~ 디버깅도하면서 보니 비디오 이벤트 중 timeupdate 에서 사이즈를 업데이트 하고있었습니다...
팀장님께서 코어한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자" 얘기를 하신지 거의 5개월이 지났습니다. 들어오는 일감들과 내부적인 문제로 밀리고 밀리던 중 드디어 시작했습니다. 제가 생각한 현 프로젝트의 문제점은 1. 프로젝트 내 외부 모듈이 너무 많다. (심지어 개인이 만들어서 개인 레포에서 관리하는 라이브러리도 있음) 2. TypeScript를 사용하지 않았다. 3. 상태관리를 Context API로만 사용하고 있다. 등등.. 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대표적인 이유일 것 같습니다. 특히 가장 힘든부분은 개인이 만들어 놓고, npm에 등록하여 사용하지만 업데이트 되지 않는 라이브러리"들" 입니당 여튼 마이그레이션이 되면서 이해하기 어렵던 코드를 이해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놓치지 않고 열심히 달려야겠습니당~ 기술 스택..